클라우드 업계로 들어오면서 바로 마주치게 되었던 거는
CSP들이었다.
지금이야 별별 종류의 회사가 다 있다는걸 알고 있지만
초반에는 쩔쩔매고 있던 내 모습이 있었다.
물론 지금도 상세로 들어가면 아주 헤메이지만...
다음은 GPT에게 물어본 것들!
## 아마존 웹 서비스(AWS)
### 장점:
- 가장 광범위한 서비스 포트폴리오 제공
- 글로벌 인프라와 높은 안정성
- 강력한 보안 및 규정 준수 기능
### 단점:
- 복잡한 가격 구조로 비용 관리가 어려울 수 있음
- 초보자에게는 학습 곡선이 가파를 수 있음
## 마이크로소프트 애저(Microsoft Azure)
### 장점:
- 마이크로소프트 제품과의 원활한 통합
-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솔루션에 강점
- 기업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
### 단점:
- 일부 서비스의 안정성 문제가 있을 수 있음
- AWS에 비해 글로벌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적음
##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(GCP)
### 장점:
- 빅데이터 및 머신러닝 분야에서 강점
- 개방형 기술과 오픈소스 지원
- 혁신적인 기술 제공
### 단점:
- AWS와 Azure에 비해 서비스 범위가 좁음
-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의 입지가 상대적으로 약함
## IBM 클라우드
### 장점:
- 강력한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
- AI 및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
-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
### 단점:
- 소규모 기업에는 복잡할 수 있음
- 일부 영역에서 경쟁사 대비 기능이 제한적일 수 있음
## 알리바바 클라우드
### 장점:
-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강력한 입지
-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 제공
- 중국 시장 진출에 유리
### 단점:
-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음
-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 제한이 있을 수 있음
이러한 CSP들은 각자의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으며, 기업의 요구사항과 목표에 따라 적합한 CSP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조금 더 상세로 적어보자면
- AWS: 한국에서 조금 더 보편화된 서비스 느낌. 미국에서는 AWS, Azure, GCP를 골고루 쓰는 멀티클라우드가 특히 발전. 한국은 멀티클라우드로 전환되고 있는 단계라는 느낌?(아직은 AWS, Azure, GCP 만 단독으로 쓰는곳이 많은 느낌이 좀 있지만 멀티 클라우드 전환이 잘된곳도 많다)
- Azure: 생각보다 한국에서 많이 쓰고있다. 그렇지만 AWS보다는 낮은것이 현실. Azure의 경우 중동에서 상당히 많이 쓰고 있다.
- GCP: 뭔가... 이도저도 아닌 느낌이 든다. 엄청나게 복잡한 구조로 상품구조가 쌓이는 구조라 특히 빌링할때 매우매우 골때린다.(언젠가 말할날이 오겠지..)
- Ncloud: 네이버클라우드 되시겠다. 이만 말을 줄이도록 하겠다. 아주 어메이징한 가격체계를 가지고 있는것으로 클라우드 업계에서 명성이 자자하다.
- 알리바바: 아직 직접적으로 겪어본적은 없다. 게임업계에서는 텐센트, 알리바바의 클라우드를 매우 선호한다고 업계분에게 들은바 있다. 게임쪽으로는 퍼포먼스가 괜찮은듯 하고, 업계에서 있으면서 들은바로는 동남아 쪽에서 꽤나 큰 파이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.
- IBM Cloud: 사실 아직 잘 몰라서 이하 생략.
다양한 클라우드 공급 업체가 전 세계적으로 있고 앞으로도 더 다양한 클라우드를 경험하게 되길 바라며.
'Cloud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우드 보안에 대하여(그야말로 기초) (2) | 2025.01.28 |
---|